728x90
728x90
2025년 2월 수출입통계을 통해 '개인적'으로 정리한 의견입니다.[반도체] ✅ 긍정적 (+)에스앤에스택: 중국 수출 우상향 중동진쎄미켐: 포토레지스트 수출 증가덕산하이메탈: 숄더볼 수출 최고치 기록NCF: SK하이닉스 MR-MUF는 1월에 이어 2월에도 수입단가와 물량 모두 급감했으나, 삼성전자쪽은 2월에 물량 증가. 삼성전자 또는 삼성전자향 소부장쪽은 관심.❌ 부정적 (-)원익QnC: 쿼츠 수출입 물량, 단가 하락 지속두산: CCL 동박적층판 24월 12월 이후 피크아웃 우려기판: 회복 기대감은 있지만 수출실적은 회복 미미MR-MUF: 수입량과 단가 급감중. SK하이닉스쪽 HBM쪽 소부장 업체들은 보수적을 봐야함. 검사&계측쪽만 봐야함.[OLED] ✅ OLED 패널: 23년 말 이후 오랜만에 물량, ..
1. 의료관광 시장 개요 🌍2025년 본격 성장 기대: 2024년 한국 방문 관광객 1,348만 명 중 10%가 의료관광을 이용했고, 이는 향후 급격한 성장의 신호로 작용함.2027년까지 6배 성장 전망: 4.4백만 명이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4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됨.피부과 시장 급성장: 2018년 의료관광 소비금액 중 15%를 차지하던 피부과 비중이 2024년 49%까지 증가했으며, 피부과 시술이 성형외과 대비 낮은 리스크와 짧은 회복 기간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요인.가성비: 결국 한국을 방문하는 건 가성비. 외국 시술비가 한국 시술비와 관광비용을 포함한 것과 같음. 1회 의료관광을 왔을 때 1개가 아닌 여러개의 의료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인당 의료관광 시술비용은 ..
1.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 및 주요 특징📊한국 수출은 하락 국면 지속2024년 기저가 높기 때문에 25년 수출 YoY 역성장 가능성 매우 높음 1) 반도체 산업: 하락 사이클 지속, IT 제품군 성장 ⬇️⬆️2월 수출에서 15대 주력 품목 중 컴퓨터 SSD, 무선통신기기, 자동차, 바이오헬스 등 4개 품목 증가반도체 수출: 96억 달러(△3.0%)로 전년 동월(99억 달러) 대비 소폭 감소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실적은 양호그러나 범용 메모리 반도체(DDR4, NAND) 가격 하락이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컴퓨터 SSD 수출: 8억 달러(+28.5%)로 14개월 연속 증가무선통신기기 수출: 15억 달러(+42.3%)로 플러스로 전환됨갤럭시 S25 시리즈 수출: 전작 대비 개선된 ..
1. 트럼프 미국과 캐나다를 잇는 송유관 건설 🛢️1.1 송유관 프로젝트 개요트럼프 전 대통령, 북미 에너지 안보 강화를 목표로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 지지키스톤 XL 송유관, 캐나다 오일샌드 원유를 미국 걸프만 정유시설로 운반하는 역할바이든 행정부에서 환경 문제를 이유로 프로젝트 취소, 트럼프 2기 가능성 시 재추진 가능성 높음트럼프 "캐나다와 미국 잇는 송유관 원해...승인 쉽고 신속하게"1.2 송유관 건설의 기대 효과에너지 독립과 일자리 창출이 주요 명분미국 내 정유업계와 일부 주 정부에서는 에너지 자급률 증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지송유관 건설 시 연간 수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가능원유 공급망 안정성 증가 및 장기적으로 원유 수송 비용 절감 효과 기대1.3 국내 강관 업체들 수혜 가능성미국내..
1. 엔비디아의 액침냉각 파트너사 탐색 엔비디아는 차세대 AI 가속기 블랙웰(Blackwell) GPU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수랭식 및 액침냉각 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 중. 기존 공랭식 냉각 방식이 증가하는 전력 소모량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서, 액체 냉각 방식이 필수로 자리 잡고 있음.국내 유력 파트너 후보 → 상장기업 없음에이알시스템: 글로벌 액침냉각 기업 GRC의 국내 파트너삼화에이스: 액침냉각 1위 기업 서브머(Submer)와 협력피케이아이(PKI): 친환경 냉매 기술 보유, 리퀴드스택(LiquidStack)과 협업귀뚜라미범양: 네덜란드 아스페리타스와 제휴엔비디아는 기존 글로벌 공급망(HPE 등)과 협력해 왔으나,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한국 내 새로운 공급망 구축을 검토 중. 특히 블랙웰..
1. 중 견제 나선 美…중국 선사·제조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미국 정부는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해 입항 시 최대 100만 달러, 톤당 최대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복수 선박 운영 시 최대 150만 달러까지 부과 가능미국 제품 수출 시 일정 비율을 미국 선적 선박 이용 의무화 (시행 직후 1% → 7년 후 15%)1974년 무역법 301조 근거, 중국 조선·해운 시장의 지배력 확대에 대응하는 조치美, 중국 선박 입항 때마다 최대 150만弗 수수료 부과2.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이유와 국내 조선·해운업체에 미치는 영향중국 정부는 보조금과 특혜를 통해 조선·해운 시장 점유율을 2000년 5%에서 2023년 50% 이상으로 성장시킴 📈미국은 자국 해운 산업 보호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