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뉴스 개요
중국 정부가 한국 문화 콘텐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가 나옴. 한한령(限韓令)은 2016년 사드(THAAD) 배치 이후 중국이 한국의 연예, 게임, 화장품,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에 대해 사실상 금지 조치를 내린 것임.
이번 해제 소식이 현실화되면 한국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이 다시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됨. 특히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화장품, 여행·면세점, 게임, 의류 업종이 주요 수혜 업종으로 꼽힘.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6479?sid=101
2. 한한령 해제의 영향
- K-팝 및 엔터 산업 활성화 → 중국 내 콘서트, 방송 출연 등 다시 가능해질 전망
- 드라마·영화 콘텐츠 유통 활성화 → 한국 드라마·영화 방영 정상화 시 제작사 매출 증가 예상
- 화장품·소비재 산업 확대 → 중국 내 한국 화장품 브랜드 유통 증가로 매출 성장 기대
- 중국인 관광객 증가 → 여행 제한 완화 시 면세점·호텔·카지노 관련 업종 수혜 예상
- 게임 판호(게임 서비스 허가) 재개 기대 → 한국 게임사들의 중국 진출 본격화 가능성
3. 한한령 해제 관련주 및 상세 설명

(1)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하이브 | BTS, 세븐틴, 뉴진스 등 인기 그룹 보유, 중국 활동 재개 시 매출 상승 기대 |
에스엠(SM) | NCT, 에스파, 슈퍼주니어 등 중국에서 인기 많은 그룹 보유 |
JYP | 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ITZY 등 중국 팬덤 탄탄함 |
YG | 블랙핑크, 빅뱅 등 글로벌 인지도 높은 아티스트 보유 |
큐브 | (여자)아이들 등 중국 내 팬층 두터움 |
디어유 | K-팝 팬 커뮤니티 플랫폼 '버블' 운영, 중국 시장 확대 시 구독자 증가 기대 |
(2) 미디어·콘텐츠 관련주
스튜디오드래곤 | 넷플릭스 협력, 한국 드라마 제작 강자 |
에이스토리 | '킹덤' 등 글로벌 히트작 보유 |
쇼박스 | 영화 제작 및 배급, 중국과 공동 제작 기대 |
덱스터 | VFX(시각효과) 기술 강점, 중국 영화·드라마 제작 수혜 예상 |
CJ ENM | 방송·콘텐츠 대기업, 중국 시장 내 IP 활용 가능 |
(3) 화장품 관련주
아모레퍼시픽 | 설화수, 라네즈 등 중국 인기 브랜드 보유 |
LG생활건강 | 후(Whoo), 숨37° 등 중국 시장 점유율 높음 |
코스맥스 | 글로벌 화장품 ODM 강자, 중국 매출 비중 큼 |
클리오 | 중저가 브랜드, 중국 젊은층 타깃 |
한국콜마 | 화장품·제약 OEM 제조, 중국 유통 확대 가능성 |
한국화장품제조 | 화장품 원료 및 제품 생산, 중국 수출 증가 기대 |
(4) 여행·면세점 관련주
롯데관광개발 | 제주 드림타워 운영, 중국인 관광객 증가 시 매출 상승 예상 |
하나투어 | 국내 최대 여행사, 중국 단체 관광 재개 기대 |
모두투어 | 여행사 운영, 중국 단체 관광객 회복 기대 |
강원랜드 | 내국인 카지노 운영, 중국 VIP 고객 증가 예상 |
GKL(그랜드코리아레저) | 외국인 전용 카지노 운영, 중국 관광객 유입 증가 가능성 |
파라다이스 | 외국인 전용 카지노 운영, 중국 관광객 방문 증가 시 수혜 예상 |
호텔신라 | 면세점 운영, 중국 관광객 쇼핑 매출 증가 기대 |
글로벌텍스프리 | 면세점 및 환급 서비스 제공, 중국 관광객 증가 시 수혜 예상 |
(5) 게임 관련주
크래프톤 | 배틀그라운드 IP 보유, 중국 매출 비중 높음 |
넷마블 | MMORPG 게임 인기, 판호 해제 시 중국 진출 기대 |
엔씨소프트 | 리니지, 블소 등 IP 보유, 중국 시장 진출 가능성 |
시프트업 | 모바일 게임 개발사, 중국 시장 공략 예상 |
펄어비스 | 검은사막 IP 보유, 중국 내 인지도 높음 |
위메이드 | 블록체인 게임 강점, 중국 시장 공략 중 |
(6) 의류 관련주
F&F | MLB, 디스커버리 브랜드 보유, 중국 내 인기 높음 |
휠라홀딩스 | 글로벌 브랜드, 중국 매출 비중 큼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 젝시믹스 등 애슬레저 브랜드 보유, 중국 소비 증가 기대 |
감성코퍼레이션 |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보유, 중국 내 확장 기대 |
4. 결론 및 투자 전략
이번 한한령 해제 기대감은 단순한 루머가 아니라 중국의 전략적 변화와 맞물려 있음.
특히,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심화될수록 중국이 한국에 대해 더 친화적인 스탠스를 취할 가능성이 높음.
포트폴리오에 일부분(10~20%)은 한한령 해제 관련주를 담아둬야할 필요성 있음.
① 한한령 해제 기대감, 실제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
-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중국은 공급망을 다변화하려 하고 있음.
- 한중 관계 개선을 통해 한국 기업을 중국 경제에 더 깊숙이 참여시키려 할 가능성이 존재함.
- 이는 콘텐츠, 게임, 화장품, 의류, 여행 등 소비재 관련 산업이 다시 중국에서 힘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
② 중국인 방한객 증가 = 여행·면세·카지노 관련주 강세 예상
- 2023년 하반기부터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남.
- 이는 중국 정부가 해외여행 규제를 완화하고 있기 때문이며, 특히 단체관광 허용이 한국 여행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실제로 면세점, 호텔, 카지노, 여행사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기대됨.
③ 중국 정부의 양적 완화 정책 = 소비 회복 기대감
- '이구환신'은 낡은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정책으로, 이는 소비 촉진 효과를 가짐.
- 중국의 경제 부양책이 화장품, 의류, 미디어·콘텐츠 소비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음.
④ 게임 산업: 판호(게임 허가) 추가 개방 가능성
- 2022년 이후 몇몇 한국 게임들이 판호를 발급받으며 분위기가 달라짐.
- 한한령 해제가 이루어진다면, 게임 판호가 본격적으로 재개될 가능성도 있음.
- 이는 크래프톤, 넷마블, 엔씨소프트, 펄어비스 등 국내 대형 게임사들에게 호재가 될 것.